반응형
부동산 거래의 필수 요소, 등기부등본 완벽 가이드
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서류인 등기부등본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중요한 문서의 의미와 확인 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. 이 글에서는 등기부등본의 개념부터 확인 방법,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등기부등본이란?
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현재 권리관계를 공적으로 증명하는 문서입니다. 쉽게 말해, 해당 부동산의 '신분증'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등기부등본에는 부동산의 소유자, 담보 설정 여부, 압류나 가압류 등 권리 제한 사항이 모두 기록되어 있어 부동산 거래 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확인 문서입니다.
2. 등기부등본의 구성
등기부등본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① 표제부
- 부동산의 소재지, 지번, 면적, 용도 등 물리적 현황이 기재됩니다.
- 건물의 경우 구조, 층수, 용도 등이 명시됩니다.
② 갑구 (소유권에 관한 사항)
- 부동산의 소유자 정보가 기재됩니다.
- 소유권 변동 이력(매매, 상속, 증여 등)이 시간 순으로 기록됩니다.
③ 을구 (소유권 외 권리에 관한 사항)
- 부동산에 설정된 담보권(저당권, 전세권 등)이 기재됩니다.
- 압류, 가압류, 가처분 등 권리 제한 사항이 기록됩니다.
- 지상권, 지역권 등 기타 권리관계도 이곳에 기재됩니다.
3. 등기부등본 확인 방법
온라인으로 확인하기
- 인터넷 등기소 (www.iros.go.kr) 접속
- 회원가입 또는 공동인증서/금융인증서로 로그인
- '등기열람/발급' 메뉴 선택
- 부동산 소재지, 지번 등 정보 입력
- 수수료 결제 (열람 1,000원, 발급 1,200원)
오프라인으로 확인하기
- 가까운 등기소 방문
- 등기부등본 열람/발급 신청서 작성
- 부동산 소재지, 지번 등 정보 기재
- 수수료 납부 후 발급
부동산 중개사무소를 통한 확인
- 공인중개사에게 의뢰하여 등기부등본을 확인할